TIL 일기

    6 July - JPA엔티티 매핑

    오늘은 엔티티 간의 매핑에 대한 실습을 하는 시간이었다. 단순하게 매핑만 하는 부분이라서 큰 어려움은 없었지만 내일 전체적으로 수정을 하는 과제가 있어서 많이 어려워질 예정. 확실히 JPA 너무나 어렵고 넓고 방대하였다. 그래도 언젠간 익숙하게 사용하는 날이 오겠지..? 예전에 Entity에 대한 포스팅을 했던 것이 어제오늘 이해에 있어 큰 도움이 되었다. 포스팅 전에는 엔티티가 그래서 대체 뭐지?? 했었다면 이번에는 아 엔티티는 DB의 테이블과 큰 관련이 있는 클래스니까 PK FK가 이렇게 쓰이고 어떻게 연관관계가 만들어지겠구나! 라고 스스로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아주 좋은 발전이다. 근데 아직 코드 작성 부분이 아직 많이 어려우니 갈길이 멀다. 이번 주도 시간이 엄청 빨리 지나가고 있는 느낌이다. ..

    4 July - Spring Data JDBC cont

    오늘 Spring Data JDBC에 대한 파트가 끝났다. DDD부터, ORM개념, 그리고 무엇보다 코드로 적용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이 컸다.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은 기술이라 그런지 관련 정보또한 많지 않았다. 거의 대부분이 JPA관련이었다. 그래도 JPA때는 스터디 책 진행하면서 한번 접해보았으니 조금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해봄. 실습과제가 오늘 많이 어려웠는데 일단은 레퍼런스 코드를 보고 제출했다. 5시간밖에 못 자서 그런지 머리가 안 돌아가는 느낌이다.. 하지만 벌써 12시가 다돼가잖아..? 난 안될꺼야 아마.. 책 진도는 조금 진행했다. Travis로 푸시 올라오면 자동으로 빌드하고, 빌드한 파일을 AWS의 S3라는 파일 저장소에 자동으로 업로드하도록 연동되는 부분까지 했다. 후반부 갈수록 코드는 ..

    29 June - 예외 처리 cont.

    오늘도 순식간에 지나갔다. 어제에 이은 예외 학습에 이어 오늘은 서비스 계층과 비즈니스 계층에서 어떻게 예외가 왔다 갔다 적용이 되는지 알 수 있었다. 어제 했던 포스팅에 추가적으로 작성하여 다시 업로드하였다. 오늘은 웬일로 실습 문제를 시간 안에 전부 풀 수 있었고 내가 페어분께 설명을 하면서 같이 진행했다. 하지만 나도 100% 이해하고 확신이 든 상태에서 설명을 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횡설수설했던 점이 많이 아쉬웠다. 그래도 어느 정도 이 코드가 이렇게 왔다 갔다 하겠구나 하는 눈썰미가 조금은 좋아진 것 같다. 그렇지만 기초가 부족한 부분이 자꾸 체감이 되어 어떤 식으로 이걸 채워야 할지 고민이 된다. 인프런 강의도 쭉쭉 병행하면서 하고 싶지만 당일의 학습 + 스터디 책 진행을 하다 보니 강의의 ..

    27 June - 서비스 계층

    저번 주에 API 계층을 배웠고 오늘은 그다음 단계인 서비스 계층에 대해 학습하였다. 요청을 주고받는 컨트롤러, 계층간의 데이터의 이동을 도와주는 DTO, 그리고 API계층에서 실질적인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곳이 서비스 계층이라고 이해했다. 그리고 실습을 진행하면서 어떤느낌으로 가는지 직접 코드를 작성하면서 진행했다. 페어 프로그래밍도 문제없이 생각보다 빨리 끝났다. 나중에 복습할때는 하나하나보다는 큰 그림에서 어떤 식으로 흐름이 진행되는지 정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 같다. 현재 상태를 점검해보면 플로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계속 새로운 것을 머리속에 집어넣고 있는 꼴이라 잘 와닿지 않는 느낌이다. 점점 더 배울것이 많아지는데 내 지식 습득 속도는 오히려 퇴화하고 있다??? 그래도 주말..

    21 June - AOP

    섹션 2의 마지막 날이다. AOP가 구체적으로 뭐다라고 아직 설명할 정도로 이해하진 못했지만 어떤 흐름으로 가겠구나 하고 뭔가 전체적은 그림은 조금 파악한 것 같다. 섹션 3 가면 계속한다니까 결국엔 익숙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다. 저번에 남궁성님의 스프링의 정석 강의를 구매했었는데 아뿔싸, 현재 커리큘럼과 다른 부분이 너무 많았다. Gradle을 쓰는데 강의에선 Maven을 쓰고, XML을 쓰는 등 과정에서 새로운 걸 배우기도 벅찼는데 다른 새로운걸 또 익히자니 시작할 엄두가 나질 않았다. 물론 믿고 보는 남궁성님의 강의이지만 현재의 내가 진행하기에는 시간적으로, 전략적으로 옳지 않다고 판단했다. 결국 환불을 결정하고 김영한님의 스프링 강의를 전부 구매해버렸다. 다른 의미의 flex... 현재 커..

    16 June - DI

    오늘과 내일 각각 하루 종일 개념 공부하는 스케줄이다. 스프링의 DI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코드를 따라 쳐보면서 하는 실습이 주가 되었는데, 아뿔싸 이해가 하나도 안 된다! 오늘따라 극도로 피곤해서 집중이 안 된 것도 있지만, 객체지향 부분, 특히 추상화 와 인터페이스 부분의 개념이 아직 부족한 것 같다. 간단한 코드는 이해가 얼추 되지만 실습 코드는 패키지를 여러 개 만들고 설정하고 이파일 저 파일 왔다 갔다 하면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한 파일에서 끝내던 이전과는 많은 괴리감이 느껴졌다. 하면서 이 변수가 어디 있던 거더라.. 이건 왜 이렇게 작성하지? 객체를 생성할 때 다른 인터페이스를 불러오네...? 이게 뭐지?라는 생각을 하루 종일 했다. 오후쯤에는 정말 머리가 아파오기 시작해서 중간에 ..

    13 June - SQL/DB

    13 June - SQL/DB

    SQL/DB 유닛도 순식간에 지나가버렸다. 처음에 봤을 때는 갑자기 이해도 안 되는데 갑자기 스키마를 구현해라 해서 아 진짜 뭔 소리지 했었는데 밤에 복습하고 오늘 다시 보니까 아 이런 느낌이군 하고 이해가 좀 되었다. 그래도 아직 문법 부분에서는 많이 부족해서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 같진 않아 좀 아쉽다. 그놈의 join... 내일부터는 드디어 백엔드의 꽃 (한국한정 ㅋㅋ) Spring framework의 진도가 시작된다. 스터디에서 진행할 책도 오늘 구매했고 남궁성 님의 스프링의 정석도 결제를 해버렸다. 책은 스터디용으로 진행하면서 스프링의 정석은 전반적으로 유어 클래스와 병행해서 하려고 한다. 어렵겠지만... 재밌을 것 같다는 좋은 생각이 많이 든다! 객체지향과 SOLID의 개념이 중요하다고 ..

    10 June - Week 7

    10 June - Week 7

    월요일이 공휴일이었어서 그런지 이번 주도 순식간에 지나간 느낌이다. 정말 빨랐다. 네트워크랑 브라우저 그리고 어제오늘 DB/SQL에 대해서 배웠는데 아직 개념도 미숙하고 코드를 작성하는 것도 미숙한 것 같다. 그래도 알고리즘 보다야... ㅋㅋㅋ 전반적으로 이번주는 살짝 쉬어가는 느낌이 들었다. 알고리즘이 너무 컸었어서 그런지.. 지금도 매일 적어도 하나씩은 문제를 풀어보고 있는데 난이도 쉬운 것부터 차근차근하고 있다. 근데 코플릿의 daily코드는 이제 시간 내에 풀지 못하는 난이도가 되어버려서 아직 많이 멀었구나 싶다. 후.. 언제쯤 뚝딱 하고 칠 수 있을까 늘 말하듯 쉬운거부터라도 꾸준하게 해보려고 하는 중. 현재 순항중인것 1. 블로그 매일 포스팅 (그날 배운 것, 아니면 적어도 그날의 TIL일기)..

    9 June - DB/SQL/스터디

    오늘은 DB와 SQL에 관련해서 배웠는데 뭔가 점점 백엔드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알고리즘에서 크게 데었는지 항상 모든 것을 알고리즘의 난이도 기준에서 비교하는 버릇이 생겨 버렸는데 어제와 그저께 배운 네트워크 HTTP 라던지 오늘의 DB 부분 이라던지, '문제 해결' 난이도 측면에서는 수월 했지만 그걸 '이해' 하는 부분에서는 똑같이 어려웠다. 게다가 분량도 얼마나 많던지.. 블로그 포스팅하랴 공부하랴 손가락이 정신없었다. 그래도 포스팅은 다 한 것 같아서 오늘 큰 건 끝냈고 지금 쓰는 TIL을 포스팅하고 나서 블로그 글 한번 다시 보면서 복습하고 알고리즘 문제 하나 풀고 할 예정이다. 적어도 11시까지는 끝내 보고 싶은데 또 12시 넘겠지? 요즘 들어 에너지 드링크 말고 매일 아침 커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