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순식간에 지나갔다.
어제에 이은 예외 학습에 이어 오늘은 서비스 계층과 비즈니스 계층에서 어떻게 예외가 왔다 갔다
적용이 되는지 알 수 있었다. 어제 했던 포스팅에 추가적으로 작성하여 다시 업로드하였다.
오늘은 웬일로 실습 문제를 시간 안에 전부 풀 수 있었고 내가 페어분께 설명을 하면서 같이 진행했다.
하지만 나도 100% 이해하고 확신이 든 상태에서 설명을 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횡설수설했던 점이
많이 아쉬웠다. 그래도 어느 정도 이 코드가 이렇게 왔다 갔다 하겠구나 하는 눈썰미가 조금은
좋아진 것 같다.
그렇지만 기초가 부족한 부분이 자꾸 체감이 되어 어떤 식으로 이걸 채워야 할지 고민이 된다.
인프런 강의도 쭉쭉 병행하면서 하고 싶지만 당일의 학습 + 스터디 책 진행을 하다 보니 강의의 진도가
잘 나가지 못하고 있다.
아마.. 순서대로 차근차근 보려고 해서 그런 것일까 싶기도 하다. 유어 클래스 부분의 진도에 맞춰서
바로 해당 부분으로 보면서 공부하고 남는 시간에 앞의 기초 부분을 진행하는 게 효율적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오늘 한번 그렇게 해보고 어떤지 한번 봐야겠다.
예외 처리
왜 쓰는가 유효성 검증에 실패했을 때 단순히 404 같은 에러를 띄우게 된다면 어느 부분에서 왜 틀린 건지 제대로 알 수가 없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측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에러 메시지의 확인
danc9921.tistory.com
'codestates_BE_bootcamp39 > 주단위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July - Week 10 (2) | 2022.07.01 |
---|---|
30 June - JDBC (0) | 2022.06.30 |
28 June - 예외/스터디 발표 (0) | 2022.06.28 |
27 June - 서비스 계층 (0) | 2022.06.27 |
24 June - Week9(오후과정 불참) (6) | 2022.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