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들러 메서드를 ResponseEntity와 HashMap을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의 반환값을
확인해보는 연습을 해보았다.
처음 코드는 위와 같이 작성되어 있었고 postman을 통해 리턴된 JSON내용을 확인해 봤는데
내가 생각했던 결과와 조금 달랐다. map안에 데이터는 잘 매칭이 되었지만 내가 의도했던 방식은
engName / korName / price의 순서였는데 순서가 맞지 않게 나오는 문제였다.
검색을 해봤는데 HashMap을 그냥 쓰지 말고 LinkedHashMap으로 변경을 하라는 글이 있었다.
그 후 자료구조에서 배운 map의 특징이 생각났다.
put 한 순서대로 데이터를 넣고 싶을때는 LinkedList처럼 Linked를 붙여야 하고, 그렇지 않고
그냥 map을 사용하면 순서에 관련이 없이 데이터의 저장이 이루어진다.
LinkedList는 알았는데 LinkedHashMap도 있는건 처음 알았다.
구조를 바꾸니 잘 해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ogramming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tity개념 복습 (0) | 2022.06.28 |
---|---|
구글 로그인 구현 이후 사용자 이름이 뜨지 않는 문제 (0) | 2022.06.23 |
gradle reload는 중요해 (0) | 2022.06.22 |
[TBC]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0) | 2022.06.21 |
AOP - Annotation (AspectJ) (0) | 2022.06.20 |